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보고서의 정의를 알아야 한다

보고서는 여러 분야에서 수행한 연구, 실험, 조사등을 통해 얻은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씌어지는 글이다. 보고서에는 연구기관에서 연구 및 조사와 관련하여 쓰는 문서, 정부, 기관에서 정책 집행과 관련하여 작성하는 문서, 기업에서 상품의 판매 현황을 조사하여 작성하는 문서, 대학에서 학생들이 연구와 실험 및 학습과제로 제출하는 글 등이 포함된다.


보고서는 학술적인 연구 성과를 담고있는 학술논문이나 학위 논문등과 일정한 차이가 있다. 여러유형의 보고서 가운데 학생들이 주로 쓰게 되는것은 실험 보고서이다. 실험보고서는 학술논문에 비해 주제의 범위가 좁고, 그 목적이 과제에 대한 지식의 정리 및 실험 결과의 작성능력을 학습하기 위한것이다. 


대학에서 학생들이 쓰는 학습 보고서나 실험보고서는 대체로 교수를 독자로 하여 작성하는 것인데, 기술 보고서나 공학보고서와는 달리 당장의 실용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지않다. 이 보고서들은 주어진 과제에 대해서 학생들이 어느정도 공부를 했으며, 적절한 절차에 따라 자료조사와 실험을 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를 보고서 체재에 맞게 정리하여 작성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것이다. 


실험보고서는 어떻게 구성될까. 실험 결과로 나온 사실을 일정한 형식과 논리에 따라 정리하는것이 실험 보고서의 핵심이다. 실험 보고서에는 근거있는 의견만을 제시해야하며, 글쓴이의 주관적인 느낌이나 판단은 배제해야한다. 객관적인 사실을 진술하는것은 그 사실에 관한 글쓴이의 지식을 정확하게 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좋은 실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실험 목적과 실험 결과가 일치되어야하고, 실험 내용은 가감없이 보고서에 작성해야하며, 표나 그래프에는 실험의 결과가 시각적으로 잘 표현되어야하고, 실험 목적과 관련된 논점을 분명하게 부각시켜야하며, 독자를 고려하여 작성해야한다.



경우에 따라서 실험 보고서의 세부항목들은 선택적으로 읽힐수있다. 다시 말해 읽는 사람의 필요나 관심사에 따라 필요한 항목만을 발췌하여 읽을수도있다. 이 점이 표준 형식에 맞추어 실험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이다. 형식과 체재가 표준적이어야만 원하는 부분을 찾아 읽기가 용이하다. 



보고서의 시작은 표지이다. 표지는 보고서의 글쓴이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표지에는 실험제목, 과목명, 실험시간과 장소, 학과, 학번, 이름등을 적는다. 


또한 실험보고서의 제목은 그 실험이 무엇에 관한것인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실험 내용을 압축하여 작성해야한다. 한눈에 의미가 파악되지않거나 혼동을 주는 제목은 좋지않다. 그러나 제목이 길어지면 독자의 관심을 집중시키지 못해 오히려 정보제시의 효과를 떨어뜨릴수있다. 또 너무 추상적이거나 지나치게 독특한 제목도 바람직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