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연산자란 무엇인가 연산자란 수학에서 사용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곱하기, 나누기 등의 연산기호와 같이 프로그램 내에서 연산을 행하는 기호를 의미한다. c언어에서는 다양한 연산자가 있으며 특히,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 사용되는 연산자와는 달리 기계 코드의 연산 명령어와 1대1 대응하도록 만들어져 있어서 연산 처리의 실행 속도가 빠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수식에 여러개의 연산자가 사용될 경우, 이는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연산이 실행된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높은 것을 먼저 처리하고, 우선순위가 같을 경우에는 c언어에서 지정한 결합 규칙에 따라 실행된다.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예는 다음과 같다.a+b에서 a와 b는 피연산자이고 플러스는 연산자이다. 연산자의 정해진 우선순위를 꼭 바꾸어야 할 경우 괄호를 사용한다. 어떤 식을 다.. 더보기
변수와 상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변수명을 지정할 때는 규칙을 지켜야 한다. 변수명으로 사용 가능한 문자는 a~z, 밑줄이다. 변수명의 첫자는 반드시 알파벳 문자이거나 밑줄로 시작해야 한다. 변수명의 첫자를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된다. 변수명의 길이는 제한이 없으나, 표준 c에서는 최대 32 문자 까지만 유효하다. 변수명 지정시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는 다르게 취급한다. 변수명 지정시 예약어와 내장 명령은 사용 할 수 없다. 컴파일러는 int a 라는 문장을 메모리로 읽어 들인다. 다음 int 라는 형 지정자는 컴파일러 a라는 변수에게 얼마만큼의 메모리를 기억장소로 쓸 것인지를 알려준다. 운영체제는 int형을 사용하기 위해 2바이트 내지 4바이트의 메모리를 요구하고, c언어는 변수를 자동적으로 초기화하지 않기 때문에.. 더보기
비트, 바이트, 워드 컴퓨터의 기억 단위는 비트, 바이트, 워드가 있다. 컴퓨터의 기억 장소에 데이터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는 비트로 1또는 0중에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컴퓨터 내부의 모든 전자 회로는 전기적으로 5볼트의 전위를 가지면 논리적으로 1을, 0볼트의 전위를 가지면 논리적인 0으로 간주한다. 이는 전원 스위치의 on/off로 이해할 수 있다.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하나의 비트만으로는 다양한 데이터를 표현할 수 없으므로, 일정한 양의 비트를 한 단위로 묶어서 데이터로 표현해야 하는데, 8개의 비트를 모아서 한 단위로 하는 바이트를 기본 단위로 하고, 비트 패턴은 256가지로 0부터 255까지의 수치를 나타내거나, 256가지의 문자집합을 표현할 수 있다. 워드는 비트나 바이트와는 달리 컴퓨터 시스템마다 각지 달라지는데.. 더보기
C언어란 무엇인가 현재 프로그래머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컴퓨터 언어는 특성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여러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코볼은 사무 처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포트란은 과학 계산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사용되고, 어셈블리 언어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각 언어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이 언어들은 해당 분야에서 명령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c언어는 다목적 프로그래밍 언어로 어느 분야에서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명령 기능을 충분히 발휘한다. c언어의 외형은 파스칼이나 피엘등과 같이 고급 언어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기능 면에서는 저급 언어의 특성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c언어는 양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고급 언어의 기능뿐.. 더보기
예비 논문, 자료 검색, 문헌 편람 학술지에 어떤 논문이 실리기로 결정되어 출간되기까지 꽤 오랜시간이 걸릴 수 있다.논문 심사에서 실제의 간행에 이르는 시간은 몇 년이 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 출간되지 않은 예비 논문들을 자유롭게 올리고 내려받을 수 있는 사이트들이 있다. 수리물리학 분야의 경우, 미국 텍사스 대학교가 운영하는 수리물리학 예비 논문 보관서가 대표적인 곳이다. 수리 물리학 예비 논문 보관소는 1991년 부터 수리물리학 분야의 예비 논문들을 관리해 오고 있다. 여기에는 해마다 수백 편의 논문이 수록되고 있는데, 원하는 연도를 클릭하면 그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또 가장 최근의 논문을 보고 싶다면 end of last 20 부분을 클릭하면 된다. 그러면 그림처럼 여러 논문이 나오고, 그 중에서 관심 있는 논문이 있으면.. 더보기
정보탐색은 어떻게 해야될까 정보 탐색의 실제 과정은 대부분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제 도서관은 자료를 수집,보관하는 기본 업무 이외에도 인터넷을 통한 검색 작업을 보조하는 역할을 담담하게 되었다. 인터넷을 이용한 검색에서도 명심해야 할 점은 자신이 탐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범위를 되도록이면 좁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찾으려는 주제를 한정하고 문제의 초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광범위하고 모호한 검색어를 입력하면 수많은 검색 결과 속에서 우왕좌왕 하게 될 것이다. 검색의 주요한 방법들을 소개해보겠다. 과학 기술 분야의 기본 정보는 일차적으로 인터넷 검색 프로그램으르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몇몇 검색 사이트를 방문해서 검색창에 찾고자 하는 자료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된 잡지와 논문, 전공자의 홈페이지 주.. 더보기
날조,변조,표절을 하면 안된다 2002년 10월에 과학계 최대의 기만 행위가 폭로되었다. 사기꾼으로 밝혀진 사람은 루슨트 테크놀로지 산하 벨 연구소의 연구원인 얀 헨드리크 쇤 이었다. 쇤은 고온 초전도와 나노 기술 분야에서 특히 두각을 나타내어 한때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던 신세대 스타 물리학자였다. 그는 1998년부터 4년 동안 100여 편의 논문을 썼는데, 거의 모든 논문이 다양하고 교묘한 방식으로 데이터가 날조, 변조된 엉터리로 밝혀졌다. 벨 연구소는 노벨상 수상 과학자를 여럿 배출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구소이며, 문제가 된 논문들 가운데 무려 25편이 네이처, 사이언스, 어플라이드 피직스레터스같은 저명한 학술지에 실렸기 때문에 과학계의 충격은 더욱 컸다. 과학 기술자가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저지르는.. 더보기
실험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한다 실험 목적 항목에서는 실험을 통해 얻고자 하는 바, 즉 실험 목적을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한다. 그 실험이 왜 필요한지, 실험 과정을 통해서 어떤 결과를 얻어내려고 하는지 그리고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려고 하는 현상이나 이론 및 사실 등이 무엇인지 독자들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실험 목적 역시 실험 결과나 실험 방법 등의 다른 항목들에 비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핵심 사항만을 간단명료하게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이론 항목에서는 실험의 내용과 관련된 이론이나 원리에 대하여 정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해야 한다. 이론은 실험 방법이 타당한 것인지, 측정된 데이터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실험의 근간이 되는 이론을 실험이론에서 잘 부각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