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변수명을 지정할 때는 규칙을 지켜야 한다. 변수명으로 사용 가능한 문자는 a~z, 밑줄이다. 변수명의 첫자는 반드시 알파벳 문자이거나 밑줄로 시작해야 한다. 변수명의 첫자를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된다. 변수명의 길이는 제한이 없으나, 표준 c에서는 최대 32 문자 까지만 유효하다. 변수명 지정시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는 다르게 취급한다. 변수명 지정시 예약어와 내장 명령은 사용 할 수 없다. 컴파일러는 int a 라는 문장을 메모리로 읽어 들인다. 다음 int 라는 형 지정자는 컴파일러 a라는 변수에게 얼마만큼의 메모리를 기억장소로 쓸 것인지를 알려준다. 운영체제는 int형을 사용하기 위해 2바이트 내지 4바이트의 메모리를 요구하고, c언어는 변수를 자동적으로 초기화하지 않기 때문에 변수가 정의된 직후에는 불필요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반드시 초기화 작업을 시켜 주어야 한다.
변수의 왼쪽값은 그 변수값이 저장되는 메모리의 번지값이고, 변수의 오른쪽값은 그 메모리 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값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컴파일러는 변수의 번지는 절대로 잊어버려서는 안 되며, 심벌 테이블에 변수의 왼쪽값을 기록하므로, 왼쪽값만을 이용해서 컴파일러는 그 변수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찾는다. 이와는 다르게 rvalue는 그 변수가 가지고 있는 실제 값이다. 디버그시 변수 i가 초기화 되지 않아 에러가 발생되지만 무시를 선택한 후 실행한다. printf문에서 %p는 메모리 번지값인 lvalue를 출력시킨다.
c언어에서 기본형만 해도 5개나 되므로 상수 또한 그 값에 따라 어느 데이터 형으로 취급해야 하는지를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수는 수치적 형태로 표현하고 프로그램 실행 중에 그 값이 변하지 않는 수를 말하며, 그 종류는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상수로 나뉜다. 정수 상수는 예를 들면 10과 같이 소수점을 포함하지 않는 숫자로 8진 표현, 10진 표현, 16진 표현이 가능하다. 처음에 0x 또는 0x로 시작되는 정수는 16진수를 나타내며, 0으로 시작되는 정수는 8진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진수 20을 8진수로 표현하면 024이고 16진수로 표현하면 0x14로 표시한다. 그리고 long형을 표현하려면 정수의 끝에 l 을 붙인다. 예를 들면 5l은 long형 정수 5를 표현한 것이다. 참고할 점은 10진수나 8진수, 16진수 등은 값에 대한 표기일 뿐, 메모리에 저장할 때는 저장되는 형태는 2진수로 비트 구조는 전부 동일하다.
실수 상수는 부동소수점 표기 또는 고정소수점 표기 모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0.123과 같이 소수점을 포함하는 숫자로 표현된다. 또한 컴퓨터에서 실수형 데이터는 지수형 표기도 가능하다. 이때 부동 소수점 표기법은 가수부와 지수부를 분리하기 위해 'e' 를 사용한다. 문자 상수는 단일 인용 부호로 나타내며, 문자 상수란 그 시스템이 사용하고 있는 문자세트에 포함되는 문자나 문자 번호이고, 문자 데이터의 값은 그 문자의 ascii코드가 된다. 문자열 상수는 텍스트, 단어, 문장, 이름 등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 집합을 말하고, 이중 인용 부호로 둘러싸인 한 개 이상의 문자 배열로, 문자열 상수 끝에는 c 컴파일러가 문자열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를 첨가시켜 메모리에 저장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자란 무엇인가 (0) | 2020.11.25 |
---|---|
비트, 바이트, 워드 (0) | 2020.11.21 |
C언어란 무엇인가 (0) | 2020.11.20 |
예비 논문, 자료 검색, 문헌 편람 (0) | 2020.11.20 |
정보탐색은 어떻게 해야될까 (0) | 2020.11.16 |
날조,변조,표절을 하면 안된다 (0)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