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주장에대한 근거를 찾아야한다

화제 탐색을 통해 문제를 설정하면 그 다음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봐야한다.

해결책이 없는 문제설정은 제안이나 의견제시에 불과할뿐이다. 물론 때에 따라서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위해 해결책이 없는 글을 쓸때도 있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과학문서는 문제와 해결책을 같이 제시해야한다. 과학문서에서 해결책은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과 결과를 서술하는 형식으로 흘러가는데 이것을 주장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주장에는 논증이 있어야한다. 어떤 주장이 합당하다는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근거가 필수불가결한데, 그 근거는 논리적으로 타당하고 이유가 분명한것이어야한다.

설득력있는 주장은 반드시 타당한 근거와 이유를 가진다. 주장이 명료하다는 것은 근거가 그만큼

충실하고 구체적이라는것을 뜻한다.



주장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글쓴이가 그 분야에대해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자신있게 말하는것이 필요하다.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해당 분야에 대한 어떤 주장을 제시할때 독자들은 그것을 쉽게 받아들이기 마련이다. 따라서 과학문서를 작성하고자 할때에는 자신이 잘 아는 분야에서 문제와 주장을 끌어내는것도 중요하다.



이런 요소 이외에도 올바른 주장을 위해서 그것이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가지고있는지, 자신의 주장과 유사한 주장이 이미 제시된적이 있는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연구방법이 있는지,

자신의 주장에 대해 동료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것인지 등의 질문을 던져보아야 좋다.



과학 문서를 통해 제시될 주장은 여러개일수있고, 그것들은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진것일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주장들의 관계 역시 검토해보아야 한다.



과학문서에서 가장 큰 주장은 주제인데, 주제문은 과학문서가 내세우는 중심 주장을 한문장으로 서술한것이다. 그 밖에도 하위 항목에서 여러 주장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실에 대한 주장이 그 하나이다.



유류 유출사고가 빈발하면서 해양 오염이 심각해졌다나 미생물로 유류를 분해할수있다, 화학약품을 통한 오염방제는 부작용이 많다등은 사실에 대한 주장이다. 반면에 환경오염을 막기위해 미생물로 유류를 분해하는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라는 주장은 정책에 대한 주장이다.



이처럼 하나의 문서속에 여러 주장들이 다양하게 결합되어 나타난다. 물론 하나의 주장만 제시되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 주장들로 하나의 중심주장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 경우 하위주장은 상위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된다. 이처럼 주장들의 배치는 위계적이게 된다.



끝으로 좋은 과학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한편의 글속에 담겨있는 다양한 주장들을 검토하고 이 주장들 사이에서 위계관계를 잘 세워야한다. 주장들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개요짜기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